목록Develop/Spring (7)
Dazzling 개발 노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v621W/btsEj671Gi0/5KCJSOegtIHovAaCVlbsVK/img.png)
Dispatcher-Servlet의 개념 Dispatcher-Servlet이란? HTTP 프로토콜로 들어오는 모든 요청을 가장 먼저 받아 적합한 컨트롤러에 위임해주는 프론트 컨트롤러 (Front Controller) Front Controller 서블릿 컨테이너의 제일 앞에서 서버로 들어오는 클라이언트의 모든 요청을 받아서 처리하는 컨트롤러 MVC 구조에서 함께 사용되는 디자인 패턴 Dispatcher-Servlet의 장점 어플리케이션으로 들어오는 모든 요청을 핸들링 공통 작업 처리 컨트롤러만 구현해도 Dispatcher-Servlet이 적합한 컨트롤러로 위임 가능 Dispatcher-Servlet의 동작과정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Dispatcher-Servlet이 받음 요청 정보를 통해 위임할 컨트롤러를..
프로젝트를 진행하다가 데이터베이스의 다른 테이블에 접근하는 일이 필요할 때, 관련 서비스를 통해서 레포지토리를 통해 접근, 혹은 사용중인 서비스에서 레포지토리를 바로 호출해서 접근. 이 두 가지 접근에 대해 의견이 나눠졌다. 그래서 각각의 방법이 가진 특성과 그로 인한 장단점을 조사해봤다. A 서비스가 B 서비스를 거쳐 B 레포지토리에 접근하는 방식 이 방법은 서비스 계층의 캡슐화와 추상화를 잘 유지하면서 다른 도메인의 로직에 손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해준다. B 서비스는 B 테이블의 비즈니스 로직을 담당하며, A 서비스는 B 서비스가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필요한 로직을 재사용할 수 있다. 장점: 1) 코드 재사용성의 증가 B 테이블과 관련된 비즈니스 로직이 B 서비스에 집중되어 있어, 다른 서비스..
스프링 프레임워크에서 제공하는 @Transactional 어노테이션은 데이터의 일관성과 무결성을 유지하기 위해 트랜잭션을 선언적으로 관리하는 강력한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트랜잭션(Transaction)이란? 트랜잭션은 데이터베이스의 상태를 변화시키는 하나의 작업 단위로, 여러 작업들이 모두 성공적으로 완료되거나, 하나라도 실패할 경우 전체 작업이 취소(롤백)되는 것을 보장한다. 트랜잭션은 일반적으로 ACID(Atomicity, Consistency, Isolation, Durability) 속성을 만족해야 한다. @Transactional 어노테이션의 역할 @Transactional 어노테이션은 메소드나 클래스 레벨에 적용되어, 해당 범위의 실행을 하나의 트랜잭션으로 묶는다. 이 어노테이션을 사용함으로써..
스프링 프레임워크에서 @ResponseStatus 어노테이션은 컨트롤러 메서드나 예외 클래스에 적용되어 HTTP 응답의 상태 코드를 명시적으로 지정한다. 이 어노테이션을 사용함으로써 개발자는 특정 조건에서 원하는 HTTP 상태 코드를 클라이언트에게 반환할 수 있다. 다음은 @ResponseStatus와 함께 자주 사용되는 몇 가지 HTTP 상태 코드와 그 특징들이다. 200 OK 성공적인 요청과 응답을 나타낸다. @ResponseStatus(HttpStatus.OK)로 명시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조회 작업(GET 요청)이 성공적으로 완료되었을 때 사용된다. 201 Created 새로운 리소스가 성공적으로 생성되었음을 나타낸다. @ResponseStatus(HttpStatus.CREATED)를 사용하여..
Spring MVC는 Java 기반 웹 개발을 위한 강력한 프레임워크로, Model-View-Controller(MVC) 패턴에 기반하여 웹 애플리케이션의 구조를 체계적으로 구성한다. 이 프레임워크는 웹 애플리케이션의 개발과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만들어 준다. Spring MVC의 핵심 개념 Model-View-Controller(MVC) 패턴 Model: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와 비즈니스 로직. 데이터의 저장, 수정, 삭제 같은 기능을 담당하며, 상태의 변경을 View와 Controller에 알린다. View: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 HTML, JSP와 같은 웹 페이지로 구성되며,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 Controller에 전달한다. Controller: 사용자의 입력과 이벤트를 처리. Model을 업데..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qdi4l/btsDKQxxaDA/6dx05dDelGby34j0HcySKk/img.png)
1. Spring Security 스프링 기반의 애플리케이션의 보안(인증과 권한)을 담당하는 프레임워크 필터(Filter)를 기반으로 동작해 스프링 MVC와 분리되어 관리 및 동작한다. 필터(Filter) Dispatcher Servlet으로 가기 전에 적용되어 가장 먼저 URL 요청을 받지만, Interceptor는 Dispatcher와 Controller 사이에 위치한다. Client (Request) → Filter → DispatcherServlet → Interceptor → Controller 관련 용어 Principal : 접근 주체 보호된 대상에 접근하는 유저 Authentication : 인증 증명 Authorization : 인가 권한 부여, 허가 Role : 권한 인증된 주체가 애플리..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piTMO/btsFeExCB4W/vOdoBSGEkVl7WrNfwb2wHk/img.png)
프레임워크란? 웹 개발에서 프레임워크는 어떠한 목적을 쉽게 달성할 수 있도록 해당 목적과 관련된 코드의 뼈대를 미리 만들어둔 것을 의미한다. 즉, 특정 종류의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재사용 가능한 표준 방법을 제공하는 코드의 집합이다. 개발자가 소프트웨어나 애플리케이션을 더 빠르게, 효율적으로 개발할 수 있도록 기본적인 구조를 제공한다. 스프링(Spring)이란? 스프링은 자바 플랫폼을 위한 오픈 소스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이다. 엔터프라이즈 급의 애플리케이션을 쉽게 개발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이는 강력한 의존성 주입(Dependency Injection)을 기반으로 하여, 애플리케이션의 구성 요소들 간의 결합도를 낮추고, 유지보수 및 테스트가 용이한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할..